분류 전체보기 44

Windows용 패키지 매니저 초콜리티(Chocolatey) 설치하기⚙️

리액트 개발 환경 구성하면서 초콜리티를 설치하게 되었다. 🍫초콜리티란? 윈도우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윈도우용 패키지 관리자. - Linux의 apt(apt-get), yum, Mac의 Homebrew처럼패키지 설치 / 업데이트 / 삭제 등에 사용하는 Windows용 패키지 매니저 초콜리티를 통해 윈도우에 필요한 패키지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초콜리티 공식 사이트: https://chocolatey.org/install Installing Chocolatey Chocolatey is software management automation for Windows that wraps installers, executables, zips, and scripts into compiled pa..

Web/etc. 2023.11.29

<위대한 수업3>테렌스 타오_모두를 위한 수학🎥

예전에 AI에 관심이 많은 유명한 수학자를 기사에서 처음 알게 되었는데..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1128 모핑( Morphing ) * 모핑: 하나의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단절 없이 바꾸는 기술. # 수학을 잘 가르치는 법 학교에서 기술, 수식, 규칙적 사고만 강조. 수학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성적에 대한 집착을 떠나 수학을 가지고 놀 줄 알아야. 2강. 어려운 문제를 푸는 법 # 단순한 문제를 통해 어려운 문제의 답 찾기 수학은 문제를 변형하고 다른 해법을 찾는 등 시행착오를 거치며 탐구하고 고민할 수 있는 학문. 문제를 풀지 못했어도 괜찮음. 다른 방법을 시도하면 되기 때문. 바로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기보다 간단한 문제를 풀며 직관을 얻고 어려..

일상/WATCHING 2023.11.04

[error] connection error: MongoParseError: option usecreateindex is not supported

❗ 에러상황 mongoose.connect("mongodb://localhost:27017/go-camp", { useNewUrlParser: true, useCreateIndex: true, useUnifiedTopology: true, }); 에러발생. ✅ 해결방안 No More Deprecation Warning Options useNewUrlParser, useUnifiedTopology, useFindAndModify, and useCreateIndex are no longer supported options. Mongoose 6 always behaves as if useNewUrlParser, useUnifiedTopology, and useCreateIndex are true, and us..

ERRORS 2023.08.30

[error] `Warning: validateDOMNesting(...):...

❗ 에러상황 프로젝트의 관리자페이지를 만들던 중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남. ✅ 해결방안 찾아보니 React에서 Table을 사용 시 주의점이 있었다. jsx에서 tbody와 thead 반드시 써주기. HTML에서는 tbody를 생략하고 tr과 td를 사용할 수 있으나, JSX에서는 tbody를 선언해야 tr과 td를 사용할 수 있고, thead를 작성해야 th를 사용할 수 있다. React가 rerender를 진행할 때, DOM tree가 예상과는 달리 진행될 수 있어 그런 것 같다. 참고. https://github.com/facebook/react/issues/5652 Warning: validateDOMNesting(...): cannot appear as a child of · Issue #565..

ERRORS 2023.08.16

[error] CRA 리액트 웹팩 버전이 안 맞는 경우의 에러

❗ 에러상황 프로젝트 생성 후 npm start를 했는데 에러가 발생했다. 리액트를 자세히 공부하면서 개발환경 직접 구축해 보기 위해 수동으로 웹팩을 설치했었는데 CRA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서 웹팩 버전이 맞지 않아 생긴 오류 같았다. ✅ 해결방안 간단한 해결방안으로 터미널에 빨간 줄에 나와있던 대로 따라 했다. 리액트 프로젝트 파일에 .env파일 생성 후, 파일 안에 SKIP_PREFLIGHT_CHECK=true입력. 그리고 다시 npm start 또는 yarn start로 재실행하면 해결.

ERRORS 2023.07.16

[error] npm ERR! code 1 오류

❗ 에러상황 npm ERR! code 1 npm ERR! path /Users/... npm ERR! command failed node-sass패키지 설치 중 에러가 발생했다. 그전에 node 버전을 업데이트했었는데 node-sass버전과 맞지 않아 생기는 오류 같았다. node.js버전 낮추거나 node-sass버전을 높이면 될듯한데, 최근 dart-sass로도 전환해서 쓰는 것 같다. https://www.npmjs.com/package/node-sass node-sass Wrapper around libsass. Latest version: 9.0.0, last published: 2 months ago. Start using node-sass in your project by running `n..

ERRORS 2023.07.16

Window에 Mongo DB 설치 및 환경 설정하기, 오류 해결

1. MongoDB 설치 https://www.mongodb.com/ MongoDB: The Developer Data Platform Get your ideas to market faster with a developer data platform built on the leading modern database. MongoDB makes working with data easy. www.mongodb.com MongoDB 홈페이지에서 Products에 'Community Server' 선택. Window 설치로 다운로드를 한다. 설치 화면이 나오면 'Next'버튼 계속 눌러주고, 폴더 경로를 바꿔주기 위해 'Custom'버튼을 클릭한다. 오른쪽 'Browse..'클릭. 폴더 이름을 C:\mongodb\..

Web/TIL 2023.07.06

[error] Uncaught (in promise) TypeError 오류

❗ 에러상황 로그인 하려했을때 Uncaught (in promise) TypeError가 떠서 살펴보니 데이터가 제대로 넘어 오지 않는 것 같았다. 일단 백엔드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을 해보니 역시나 서버가 꺼져 있었다. ✅ 해결방안 나는 배포를 한 상태이기에 푸티에 접속해서 파일을 열고, 명령어(netstat -tnlp)를 사용하여 열려있는 포트 확인하였다. 그리고 서버를 다시 실행(nohup node app &)하니 프론트와 백이 연결이 되어, ERR_CONNECTION_REFUESED에러와 Cannot read porperties of undefined(reading 'data')에러 모두 해결되었다.

ERRORS 2023.06.19

실행 컨텍스트란

자바스크립트의 실행 컨텍스트를 이해하면 scope, hoisting, closure 등 자바스크립트의 주요한 동작을 이해할 수 있음. 실행 컨텍스트는 순전히 자바스크립트 스펙을 위한 메커니즘이라 직접 접근해서 확인 어렵. 실행컨텍스트의 구성을 볼게요. 이중에서 두가지만 집중해서 볼텐데 실행컨텍스트 안에 있는 Record와 Outer. 첫째, Record를 통해 자바스크립트의 호이스팅을 이해하고 둘째, Outer를 통해 자바스크립트의 스코프체이닝을 이해한 후 마지막으로, 실행컨텍스트에 대해 종합 정리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시키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콜 스택이라는 통에 전역 실행컨텍스트를 담음. 실행컨텍스트니까 안에 아까봤던 Record와 Outer가 담겨있음. 만약 전역 A에서 함수..

메모장 2023.03.28

failed to push some refs to 에러

push를 하면서 이 에러를 보았던 게 처음은 아니었지만.. 그전은 remote저장소에 있는 소스를 최신버전으로 pull을 받지 않아 생긴 에러였고 다시 pull 하고 push하면 해결이 되었었다. 하지만 이번경우엔 pull한 뒤에도 push가 안 됐고, git push -f origin 명령어로 강제 push해도 소용없었다. fatal error in commit_refs라는 키워드로 검색해 찾은 git gc명령어를 실행해도 안되었고.... 구글링 결과 깃허브 사이트 상태로 인한 오류로 시간이 지나면 해결된다는 글을 보았다. 아래 주소를 통해 깃허브의 상태를 보고 나는 몇몇 status가 !였음을 확인하였고, 원인은 이 때문이었다. https://www.githubstatus.com/ GitHub St..

메모장 2023.03.27